조경 그리고 관수 시스템.. 협의.. 가끔.. 조경관련쪽에서 연락이 오는 경우가 있다. 기술협력을 이야기 하지만.. 거의 관심을 두지 않는 것은.. 기술적인 문제 보다는 의견과 기타 사회 통념의 차지가 크기 때문이다.. 잠시 조경쪽 회사의 컨설팅 기술자문.. 그리고 6개월간 근무 한적이 있다.. 돌이켜 보면 최악의 시간이었을 정도로.. 기.. 농업 엔지니어의 생각.. 2011.04.22
공간과 소망.. 작은 계획이나 꿈이 있다면.. 작은 공방을 가지는 것이다.. 화천 이나 기타 아무 곳에서나 나만의 공간을 먼저 만들어 놓고 있지만.. 조금 넓고. 이것 저것 할 수 있는 격리된 공간에 대한 환상은 계속 가지고 있다.. 전라북도 와 기타 몇군대와 컨설팅 계약이 채결될 예정이라 . 계약 되면 전주 쪽에 작.. 농업 엔지니어의 생각.. 2011.04.19
화천...높고 깊은산에서는 생각이 많아 진다... 화천이라는 지역이.. 산천어 축제와 방송프로그램 1박2일을 통해 전국으로 알려져... 그리 낮선 이름이 아니지만. 아직 어디에 있는지 아는 사람은 드물다. 단순히 강원도 어느 깊은 산골짝 이라는 것만. 주변에 군 부대가 많고 특히나 사내면 사창리.. 라는 지명이 오히려 더 유명한 곳... 동서울터미널.. 농업 엔지니어의 생각.. 2011.04.09
어느 택배를 이용하세요 ?... 산골이다보니.. 초기 택배에 문제가 있었다. 한동안 주인 없이 관리되다 보니.. 유리온실이 있는 줄도 모르는 사람이대부분이고. 가까이 자재나 물건을 구입하지 못하는 것은 택배를 많이 이용하는데.. 1년정도 지나. 어느정도 온실이 알려져 있고 어지간한 택배회사는 다들 몇번씩 배달을 왔기 때문에.. 농업 엔지니어의 생각.. 2011.03.25
시간의 개념 굳이 상대성 원리를 이야기 하지 않아도.. 시간은 공간에 따라 흐름이 달라진다.. 반년동안 계약되었던 전북화훼 로즈피아와의 컨설팅이 마무리 되었다. 매주 한번씩 화천에서 임실, 전주를 거쳐 김제까지.. 왕복 1,000km 가 넘는 길이다. 한동안 농업 현장에서 떨어져 있었기에. 그동안 어떤일이 있었는.. 농업 엔지니어의 생각.. 2011.02.12
이상한파?... 계속 이상 한파에 대한 뉴스에 지인들에게 날 추운데 어찌 버티는가?. 안부 전화가 많이 옵니다. 화천이라는 지명이.. 가슴 시리게 하는데. 연일 계속 되는 추위에 걱정어린 전화 이지만. 여기는 늘 영하 15도 이하.. 자주 -20도 이하로 내려가는 지역이라. 거식서 몇도 더 내려 가는 것에는 별 문제가 없.. 농업 엔지니어의 생각.. 2011.01.18
시설농업, 첨단농업, 정밀 농업 시설 농업은 시설을 이용해 농업 생산을 하는 농업의 한 방법을 말한다.. 첨단 농업은 시설농업중 유리온실이나 양액 재배 같은 상대적으로 앞선 기술 농업을 말한다. 정밀농업은 첨단농업중 좀더 기계화와 컴퓨터 등을 이용한 기상제어를 기본으로 하는 농업을 말한다.. 굳이 이를 구분하고 나누어야.. 농업 엔지니어의 생각.. 2011.01.16
파티션 정원. 실내정원이나 도시 정원은 많은 이들의 관심 사항이고. 다양한 제품이 나와 있습니다. 우리같이 정밀 농업을 하는 이들에게는 진출하기 쉬운 부분이지만. 생산 농장에서 하듯 정밀한 제어를 해야 한다는 강박관념 때문에.. 한동안 망설여 지던것이. 조경회사에 반년 일하다 보니.. 생산해서 소비자에.. 농업 엔지니어의 생각.. 2010.12.04
농업 교육의 현실.. 이런 저런 이유로 농업 교육에 관련된 사람을 만날 경우가 많다. 농고 교사 부터. 농대 교수 및 관련 기관에 학위를 가진 사람들.. 하나 같이 현재의 농업 교육 현실에 대한 걱정이 많지만. 그렇다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도 하지 않는것 같아 대화 하는 과정에서 맥 빠지는 경우가 많다. 유기농 이.. 농업 엔지니어의 생각.. 2010.12.01
올 겨울은... 사무실 한켠에다. 스키 부츠와 고글 화이버... 잘 보이는 곳에 올려 놓은 것은 지금은 바쁘더라도 올 겨울은 스키장에서 한가하게 보낼 수 있을것 이라는 막연한 기대감 때문인지도 모릅니다. 지난해 부터 사용하지 않아 먼지만 하얗게 쌓여 있는 녀석들... 먼지 앉지않게 열심히 바람속을 달려야 하는.. 농업 엔지니어의 생각.. 2010.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