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현장 컨설팅 2일째.. 컨설팅 신청 농가가 갑자기 늘어 나는 바람에. 이틀에 걸쳐 현장 방문 컨설팅을 진행 하고 있습니다. 90년 초창기 설치된 온실에 오면. 오랜 박물관에 온 느낌.. 꽤 오래전에 만들어진 양액 공급시스탬입 니다. 90년 초기 형태로.. 안정적으로 사용 할 수 있는 제품인데.. 수입회사에서 유지 관리 도움 받.. 시설농업/재배와 생산 관리 2011.07.20
1차 현장 컨설팅. 생산 농가를 컨설팅을 한다는 것은 많은 부분에서 주의 해야한다. 생산 농가 나름 최선을 다 하고 있는 상황에서 과정을 생략하고 결과에 대한 문제점만 이야기 한다면.. 상호 신뢰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현재의 생산 농가에 문제가 있다 해도 그 과정을 검토하고 수정할 수 없다면. 차선을 협의해 선.. 시설농업/재배와 생산 관리 2011.07.19
양액 공급 설비.. 임실 오수 장미 생산 온실에 설치된 양액 공급시스템의 개념도... 일반적으로 비료탱크를 2개를 사용하거나 예비로 설치 해도 사용하는 것은 2개만 사용한다. 장미의 특성에 따라 양액 농도와 공급 간격. 비료 성분을 달리 관리 해야 하는 상황에서 현재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양액 공급 시스템의 .. 시설농업/재배와 생산 관리 2011.07.13
양액 재순환 시스템... 엽채류 생산 공장(균일한 품질과 균일한 일일 생산량을 유지하는 재배 시스템) 개념도.. 기초적인 cad 프로그램을 다룰 수 는 있으나.. 일반적인 도면이라 개념도는 그림판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페인터나 기타 스케치북 등 손쉬운 프로그램이 있지만.. 익숙한 기본 그림을 그릴 수 있는 그림판이.. .. 시설농업/최신 시설농업 2011.07.08
전라북도 화훼 협회 재배생산 컨설팅 일정 7월 5일부터 전북화훼연합회 소속 농가 중 장미 양액 재배 수출 농가를 중심으로 양액재배 및 생산에 관한 전반적인 이론과 실습 교육, 현장 컨설팅을 진행 합니다. 장소는 전라북도 전주와 임실 김제 일원에서 진행 되며 일정은 약 3개월간 진행되며 약 10회 방문 및 현장 교육이 있습니다. 현장 교육은.. 시설농업/재배와 생산 관리 2011.07.04
시설재배에서 좋은점 실수하기 쉬운것들... 시설원예는 자연재해로 부터 어느정도 완충력을 가진다. 현재 발생하고 있는 기상이변에서 안정적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시설원예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국제적으로 시설원예가 발달한 네델란드를 비롯한 북유업 사막의 이스라엘 등 자연환경에서 재배 생산의 적지가 아니기에. 시설원.. 시설농업/최신 시설농업 2011.06.17
온실의 수명. 시설원예에서 중요한 것중 하나가 온실의 수명에 관계된 내구성이다. 유리온실의 경우 수명이 50년 이상 되며. 비닐온실의 경우 또한 20년이 넘는다. 이경우 내부 자제들의 수명과 연계 시키지 않으면 온실의 내구성에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온실내 트러스를 용융도금을 하지 않고 아연도금강을 사.. 시설농업/최신 시설농업 2011.06.14
파프리카 생산 유리온실.. 김제 만경강 인근에 있는 초창기95년 유리온실이다 Venro형 유리온실.. 네델란드 수입모델이고.. 90년 중반 전국적으로 유리온실 광풍이 불어 올때. 한국형을 고집하고 한국현실을 주장하며 개발한 많은 제품과 설비가 있는데. 지금까지 그나마 살아 남은 시설들은 거시기 하게도 국산률이 낮을 수록 온.. 시설농업/최신 시설농업 2011.05.25
자동화 재배 시설의 이용과 관리 시설원예에서 중요한 것이 재배 시설과 그것을 운영하는 관리 시스템이다. 또한 복합환경제어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하고.. 어느 하나 중요하지 않은것이 없지만. 회사별로 그리고 제품별로 나름 타당성을 가지고 있기에 어느 시스템이 좋다 판단하기 쉬운일이 아니다. 생산 품목에따라 적합한 시설이.. 시설농업/최신 시설농업 2011.05.22
시설농업의 교육... 전국적으로 시설농업을 교육하는 기관과 시설이 많이 있다. 그중 하나가 진주에 있는 경남도기술원이다. 그곳에 일부 시스템의 문제가 있어 확인을 요청해 올라오는 전주로 길에 잠시 들려 현장을 확인.. 경남의 수출 농업을 하기 위한 다양한 시험과 교육을 병행 하고 있고 오늘도 아프리카에서 농업.. 시설농업/최신 시설농업 2011.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