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농업/최신 시설농업

시설재배에서 좋은점 실수하기 쉬운것들...

까만마구 2011. 6. 17. 08:25


시설원예는 자연재해로 부터 어느정도 완충력을 가진다. 


현재 발생하고 있는 기상이변에서 안정적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시설원예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국제적으로 시설원예가 발달한 네델란드를 비롯한 북유업 사막의 이스라엘 등 자연환경에서 재배 생산의 적지가 아니기에.


시설원예가 발달 하고 있고. 



선진 농업국들의 시설원예는 현지 환경에 적합한 방법으로 변화 발전한다. 


그러기에 각 나라의 특징이 있지만. 국제적으로 농업 수출국이면서 원예 시설과 장비 등을 수출하는 네델란드 방식이 


일반적으로 통영되는 기준이 되고 있다. 



국내 시설원예의 역사는 광양 유리온실과 음성 유통공사 온실이 건설된 1992년 부터 지금까지 약 20년이라 할 수 있다. 


그전 일부 독농가에서 시도하던 소규모 비닐온실과 각 지역의 기술센터와 농업계 학교에 건설된 소규 시험 온실을 


한국 시설원예의 역사에 포함시키기는 문제가 있다. 



94년 부터 정부 지원사업이 본격화 되면서 설치 되기 시작한 시설원예는 규묘와 조직에서 많은 차이가 있다. 


초창기 한국현실에 맞는 시설.. 한국형 이라는 온실이 많이 연구되고 설치 되었었다. 



비닐온실의 경우 1-2W 형의 연동 온실이.. 


유리온실은 와일드형, 광폭형, 무기둥형.. 그리고 쌍봉낙타처럼 만든 쌍봉형..


수많은 한국형이 만들어지고 연구되어 졌지만 


지금 신설되고 있는 온실중에 한국형 이라 칭하는 것은 없다. 


오히려 지금까지 한국형이라 칭한 온실에서 발생한 여러가지 문제들로 인해 그 피해를 농가들이 보고 있다는 것에서...



시설원예의 형태에서 한국형 미국형 이스라엘형 이라 나누기 딱히 어렵다. 



재배 작물과 작형 그리고 설치 장소에 따라 온실의 형태가 달라 지지만 



초창기 한국형 이라는 말은.. 많은 농민을 현혹시킨 주범인데.. 


아직도 일부에서 한국형 이라는 말을 자주 사용한다. 



한국형 외국형. 네델란드형 국가별로 따지고 구분하지 말고. 


벤로형. 다지붕형. 몽골형.. 등 온실의 특성에 맞게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끔 주변 농가를 방문하게 되면.. 


맘에 안드는 경우도 많지만. 나름 생각을 하고 잘 만들어 놓은 시설을 보는 즐거움도 있다. 



잘 정리된 시설을 보고 있으면 이것을 만들어 놓은 이들의 생각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어 좋다... 



위 사진을 보면 온실의 배수로를 2중으로 만들어 놓았다 


적당한 비가 올때는 물골을 따라 배수관로로 내려와 흐르겠지만 


순간적인 집중 호우에는 물 유도 배관 밖으로 빗물이 넘쳐나고. 이 경우 빗물이 떨어진 곳은 땅이 패이게 마련인데.. 


멀칭포를 깔아 잡초도 막고 비에 의한 토양의 유실 까지 막을 수 있게 해 놓았다. 


배수관을 2중 관으로 할 경우 물의 유속이 빨라 지지만 아직 거기 까지는 기술이 발전하지 않았지만. 


기본 시설로는 적합한 방법이다. 

 


단동형 2중 온실... 


가장 어정쩡한 온실.. 


작업자도 힘들고 작물도 힘들어 하는 문제가 있다. 


에너지관련 법칙에 따라 열은 위로 향하게 되고. 


이 온실의 경우 환기창을 통해 온실 내부의 열을 배출 시키려 하지만. 


측면쪽만으로는 역부족이가. 


열이 갇혀 있는 상부는 전혀 열을 배출하고 환기 시킬 수 있는 시설이 없다. 


측면으로 열을 배출 할 경우 외부의 바람이 유입되어 작물에 악영향을 준다. 


앉아서 작업하는 이들에게는 그나마 고온에 노출 되지 않겠지만. 


상부의 더운 공기와 아래쪽 찬 공기가 만나면.. 이슬이 형성된다... 


작물에게 결코 도움이 되지 않은 시설이기에... 


이런 시설에서는 경제적 생산을 하기 어려운 점이 많다. 



한곳의 시설이 잘 되어 있으면 


주변 농가도 따라 하게 되어 있다. 


누가 원조냐?. 따지기 전에 좋은 기술. 적합한 시설이라면 빨리 모방 하는 것이 좋다. 


가능 하다면. 설치해 놓은 쥔에게.. 막걸리 한잔 대접하고 따라 하면 더 좋은 것을 배울 수 있다.



양액 재배와 시설재배의 경험이 없다 보니.. 


양액공급기와 기타 관련 시설이 온실 내부에 놓여 있다... 


재배 공간손실과 기계의 수명 및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 


중요 기계 설비는 자외선이 차단된 실내 별도 공간에 설치 되어야 하며. 


일반인의 접근을 차단해야 한다... 

'시설농업 > 최신 시설농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설의 유지관리. 원수탱크.  (0) 2011.08.30
양액 재순환 시스템...   (0) 2011.07.08
온실의 수명.   (0) 2011.06.14
파프리카 생산 유리온실..  (0) 2011.05.25
자동화 재배 시설의 이용과 관리  (0) 2011.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