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년말부터 위탁 관리하는 유리온실의 복구 공사가 시작된다.
중고차의 핸들을 넘겨 받으면 먼저 점검을 하고 잘 못된 것은 수리 해야 한다.
기존의 관리자가 고의로 망가뜨린것 보다는 대부분 초기 설계잘못된 경우가 많고.
그후 개보수 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많이 발생한다.
농가 입장에서 품질과 생산량을 높이고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다양한 시설을 해 놓았지만.
대부분 효과적으로 사용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
오히려 많은 문제를 안고있다보니
품질을 높이려 설치한것이 품질을 떨어 뜨리는 원인을 만들고.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 설치한것이 투습기능이 없거나 기타 다른 이유로 인해 생산성과 품질을 떨어 뜨리는 원인이 되고 있는 상황
유리온실 약 3,800평.
보광등이 설치되어 있으나 추가적으로 열등을 설치하고. 전기 라디에터를 설치 해 놓은...
해서는 안되는 시설을 비싼 비용을 지불하고 설치해 놓았다.
누구의 잘못..
검증도 하지 않은 자재를 추천한 사람의 잘못 일까?.
이것이 한국 농업을 살리는 길이라 생각한 개발자의 잘 못일까?.
한번 사용해 보니. 좋더라.. 추천한 일부 선도 농가들의 잘못일까?.
기존의 보광등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지만.
바쁜 시간이 지나고 나면 전열 라디에터와 전등은 철거해버릴 생각이다.
보온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설치 해 놓은 다겹부직포 또한 투습 기능이 없고 오히려 온실내 유입되는 광을 차단하기에
빠른 시간않에 철거 해야 한다.
고가의 잘만든 도자기에 금이 갔다고 시멘트를 발라 놓은 상황이라 할까?.
생산 온실 옆 육묘 전용 온실의 개폐창을 우선 수리 하고 있지만.
해서는 안되는 짓을 열심히 해 놓았다.
온실에서는 가능한 용접을 해서는 안된다.
용접부위는 온실의 고온 다습한 상황에서 부식될수 있고 .
구동부위에서 발생한 부식은 잘 못 될 경우 상당한 타격을 주게 된다.
철거한 커필링..
새로 교체하는 커플링은 볼트 체결 방식을 사용한다.
볼트와 넛트 또한 녹슬지 않고 잘 풀리지 않는 너트를 사용 해야 한다.
단순한 부속 하나 잘 못 사용 할 경우 어떤 일이 발생 하는지 늘 보고 있기 때문에. 작은 부속하나 점검해야 한다.
기존 개폐창에 설치된 Arm .
초기 한국형 온실이라 농진청에서 보급한 형태의 온실에 사용하던 부속이다..
정책을 결정하는 학자와 전문가들이 잘 못 생각하면 어떤 결과가 발생 할 수 있는지..
현재 한국형이라 설계하고 보급한 시설들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돌이켜 보면.
아직도 한국형을 고집하고 주장하고 보급한 사람들이 시설농업 최 고위층에 그대로 남아 있는 현실을 어떻게 받아 들여야 하는지..
우리가 기술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경험과 개념이 부족한것을 솔직히 인정하고.
모방을 했더라면..
기술을 모방하고 소재를 모방했더라면..
현재는 대부분 자재들이 국산화 되어 있지만 초창기 정부에서 보급하고 주장한 한국형이 아니라.
외국의 경쟁력 있는 모델을 카피한것이다..
조금 창피해도.. 그래도.. 시설의 안전성과 비용등을 생각한다면. 굳이 한국형이냐. 외국형이냐? 구분 하고 편 가르기 보다는
어느것이 더 합리적인지 생각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물 받이 시설 좌우로 고정하고 있는 C형강이 거의 부식되어 있다.
온실내부에 설치되는 금속들은 부식되지 않게 용융도금을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대충..
그냥 대충.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이것을 분해 하고 다시 끼워 넣는 다는 것은
후............
끔직한 경험이 되지 않을까. 걱정이 앞선다.
리밋트도 안맞고.. 온실 천창에서는 사용해서는 안되는 것이 설치되어 있었다.
창을 다 열지도 못하는 어정쩡한 재품..
현재 발혀진 문재가 아니라. 처음부터 용도에 맞지 않다고 많은 반대를 했었는데.. 결국
설계 잘못하고. 자재 잘못 선택한 것을 고스란히 사용 농가가 피해를 입고 있는 상황을 어떻게 설명 해야 할까?.
새로 교체된 개폐기..
그리 맘에 드는 것이 아니지만. 가격대비 성능 이라 해야 하나..
나름 사용과 관리에 주의 해야 하는 상황...
리밋트 S/W 가 도저히 맘에 들지 않지만.. .
그냥.. 대충.. 넘어 가기로 했다.
개폐축을 잡아주는 플레이트.
온실 내부에 설치되는 것은 가능한 오일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높은 온도로 구리스 등이 작물에 떨어질 위험이 있기 때문에..
소재 선택에 신중 해야 한다.
커플링이 오일이 함유된 구리 성분으로 되어 있다.
소재를 잘 못 선택할 경우 부식의 위험에 노출되고..
부식 된다면.
수많은 연결 부속중 하나만 문제가 생겨도.
직접적인 타격은 작물이 입게 된다.
철거해 놓은 arm 과 개폐 부속들..
이미 부도난 회사의 부속이지만.
시행 착오가 아니라..
해서는 안되는 것을 했었기에..
또 다른 비용을 들여 복구를 해야 하는 상황이.. 나를 화 나게 한다.
'시설농업 > 재배와 생산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방 가동 (0) | 2012.10.07 |
---|---|
일찍 일어나는 새? (0) | 2012.10.06 |
화훼 생산 수출 단체 로즈피아 Rosepia (0) | 2012.01.15 |
CO2 반드시 필요하다.. (0) | 2012.01.14 |
하반기 2차 컨설팅 - 1 (난방) (0) | 2011.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