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료와 상토는 재배에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광합성의 3요소는 빛(光)+물+탄산가스.. 이지만..
그것 만으로 재배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반드시 필요한 원소 일뿐 추가적으로 필요한 조건이 많이 있다.
영양분과 토양 및 환경...
퇴비 혹은 비료 라고 총칭하지만 세부적으로 복잡하고 다양하며 전문가들이 주장하는 것이 다르다.
# 전문 농업인 생산자 교육자료로 만든 것이라.. 초보자에세는 조금 무리가 있을라나?...
일반적으로 도시농업에서 광과 CO2등 외부 환경 조건에서 부족한 부분을 보충해주기 어렵기에
생산에 중요한 물을 어떻게 줄것인가. 영양분(비료)을 어떻게 공급 할 것인가?.
그리고 어떤 상토와 어떤 환경을 만들어 줄 것인지에 따라서 생육환경과 조건이 달라지고 품질과 생산량이 달라진다.
도시농업에서 알아야 하는 것이 독일의 J.F리비히가 밝힌 법칙 최소량의 법칙이다...
가능하다면 길항작용과 음성 양성 피드팩에 관해서도 알아야 하지만.
식물이 생육하는데 필요한 비료 성분중 어느 한가지만 부족해도 작물 생육이 원할 하지 않는다는 것이며.
위의 그림과 같이 오크통의 어느 한 부분이라도 부족하면 물은 더 이상 받을 수 없다는 것처럼.
식물 생육에 필요한 여러 조건중 하나라도 부족하면 그 부족합 부분에 맞춰 진다는 합리적인 생각 ...
비료와 기타 부분이 아니라 일상 생활 에서도 적용되는 부분이다.
길항작용은 어느 하나의 성분이 많을경우 다른 성분의 흡수를 방해 하는 것을 말한다. (검색해 보면 여러 설명이 있어 참고 하시옵소서.)
음성피드백은 작물의 영양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식물을 관찰 할때 잘 나타나지 않거나 다른 현상에 감춰져 있거나 겹쳐 나타나는 경우..
양성 피드백은 문제를 식물의 잎이나 줄기 생장 점 등 생육을 보고 확인 할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
조금더 깊이 들어가면 질소 성분이 많으면 같은 양이온인 칼슘과 칼륨 흡수를 방해 하는 현상을 길항작용 이라 할 수 있고..
식물의 잎이 진한 보라색인 경우 일반적으로 인 결핍을 이야기 하지만 인은 온도가 낮으면 흡수가 되지 않으 므로 인의 부족이 아니라
저온에 의한 피해 일 수 있는것이 음성 피드백이다.
가장 알기 쉬운 잎맥의 갈변 현상이 Mg(마그네슘) 부족이라 볼 수 있지만. 일반적인 경우 마그네슘 보다는 물 부족 때문에 땅속.
근권에 Mg이 있어도 흡수 하지 못해 발생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잎맥을 보고 Mg 결핍이라 이야기 하는 것을 양성피드백..
물 부족과 기타 다른 조건에 따라 흡수가 되지 않아 발생하는 것을 음석피드백이라 구분 할 수 있다.
식물을 상업적 생산을 할 경우 충분한 비료를 공급해 주기에 식물의 생리장애를 분석해 보면 어느한 비료가 부족한 경우보다 한 성분이
너무 많아서 발생한 길항 작용과 기타 다른 문제의 경우가 많다.
상업적 생산에서 초기 육묘기때 비료염이 없는 무균상토를 사용하는 것은 초기 발에에 따른 영양분은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영양분을 상토에 공급해 주면 근권 E.C(전기 전도도/비료량을 수치로 표현하는 방법)가 높아 발아에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기에
식물을 재배 하는데 있어 비료와 거름 등... 너무 많이 주는 것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기본적으로 일반 토양이 아닌 도시농업과 소규모의 텃밭 농업의 경우 비료를 합리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반 흙 보다는 상토가 여러가지 유리한 점이 많다.
특히 도시 농업에서는 흙을 사용하지 말고 상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흙은 무게의 의해 공극(공기구멍)이 부족하고 무거워 가정이나 도시에서 많이 사용할 경우 구조물에 영향을 주기때문에 더 조심해야 한다.
상토를 사용을 원칙으로 할 경우 조심해야 하는 것이 거름과 같이 유기물 사용은 위험하다.
축산분료에 톱밥이나 왕겨등 유기물을 혼합하고 일부 성분을 추가한 퇴비의 경우 상토와 혼합 사용 하면 상토 특성에 문제가 될 위험이 있다.
또한 장기적인 사용에서 순수 상토(혼합되지 않은 피트모스. coco 등 하나의 성분으로 만들어진것이 좋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혼합 상토의 경우 초기 재배 생육에는 도움이 되지만 장기적인 사용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오염과 병충해 발생 등으로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특히 산이나 들에서 직접 채취한 부식토의 경우 부식토 안에 포함된 각종 곤충의 알등으로 인한 문제가 많다.
일반적인 부식토 안에는 달팽이와 지렁이 등의 알이 포함되어 있으며 심할 경우 뱀(꽃뱀 등 독이 없는 뱀은 알을 놓는 경우가 많다.)의 알이 들어 있어 방송에 나온적도 있다.
결론적으로..
도시농업에서 건물의 구조물에 영향을 주지 않고 반 영구적으로 사용함에 있어 경량 상토의 사용이 반드시 필요하고
이 경우 일반 퇴비나 거름의 사용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복합비료(화학 비료) 사용을 권하지만 화학 비료라는 명칭 때문에.. 건강한 먹거리를 생각 하는 분들의
선택을 받기 어렵다.
쉽게 유기농 비료.. 식물 추출물 비료 라는 것을 구입하는 경우도 좋지만...
농업 전문가의 입장에서 화학 비료나 유기물 비료의 차이점은 거의 없다 생각 한다.
식물이 영양분을 흡수하는 원리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것이 없다. 일반적으로 3가지 유형이 있으며
품목에 따라 성분에 따라 흡수하는 방법이 다르기에 하나의 이론으로 정리 할 수 없지만.
명확한 것은 식물은 주는 대로 흡수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환경에 따라 선택적 흡수를 하고
이온 상태로 흡수 한다..
그러기에. 식물 입장에서 보면 화학 비료와 일반 유기질 비료와 구분하지 않는다.
그것보다 중요한 것은 비료의 각 성분의 조합이 맍아야 하며. 어느 하나 부족하지 않게. 그렇다고 과다하지 않게...
그러기에 이것 저것 막 썩어놓은 퇴비나 거름 보다는 화학 비료를 조합해 주는 것이 도시 농업에서 성공의 지름길 이다.
.. 다음에는 저렴하게 비료를 만드는 방법을..
'도시농업, 텃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시농업 텃밭-6 (비료를 조합하기) (0) | 2011.04.14 |
---|---|
도시농업 텃받-5(싹이 움트다.. 발아) (0) | 2011.04.12 |
도시농업 텃밭-3 (품종의 분류와 구분) (0) | 2011.04.05 |
도시농업 텃밭 두번재 이야기..(파종과 삽목) (0) | 2011.04.01 |
텃밭. 도시 농업에 필요한 방법을 연재 시작 하면서.. (0) | 2011.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