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시설이다보니..
각 부속자제들의 고장이 많습니다.
특히 전자접촉기의 경우 기계적인 수명이 다된것들대문에 가끔 사고를 치고 있습니다.
개폐기를 제어하는 전자접촉기가 몇개 파손되었는데..
고장과 사고는 원인을 흔적을 통해 파악 할 수 있습니다.
접촉기 나사 부분이 검게 그을린것은 내부에서 합선에 의한 스파크가 틈으로 밀려 나와 검게 그을린것이라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내부의 스파크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정역회로의 경우 합선에 의한 피해.
단독 동작 스위치의 경우 과열과 접촉 불량에 의한 원인이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커버 내부에서 발생한 것은 확실하고.
접점 4개중에 하나는 보조접점이고 3개가 동력이 연결된것 인데..
두개접점이 동시에 스파크가 일어난 것은 합선에 의한 피해 입니다.
내부의 접점을 확인해 보면 정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합선의 이유가 여러가지 있지만.
이번의 경우 전자접촉기 수명(온실 초기에 설치한것이라 약 16년 이상된 녀석들 입니다)이 다 된것 이라는의심.
특히나 접점의 수명이 다한것 보다는 기계적인 구조의 변화에 따른 문제라 생각 됩니다.
특히 전자촉기 내부의 전자석 부분과 이를 끊어주는 스프링의 수명이 다 된것 같다는 .. 생각
덕분에.. 중요 부분은 신형 전자접촉기를 이용해 전면 교체 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자동으로 개폐시킬경우 순간적인 동작을 할 경우가 있고.
이 경우 정/역 전자 접촉기의 충돌이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기계적으로 안정된 것을 사용해야 되지 않을까?. 판단 됩니다.
3상 4선씩 연결 콘센트와 소켓. ..
사용목적과 허용전류에 따라 여러가지 타입이 있습니다.
규격과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해서 사용하면 되지만.
가능한 시설내의 연결구조를 통일 시키는 것이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입니다.
콘센트는 벽면 고정용과 이동형이 있습니다.
동력 연결 전선을 적당한 길이로 몇개를 만들어 사용 위치에 따라 연결해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상 콘센트는 접지 기능이 있는 것을 골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내부의 연결하는 방법 또한 선택해 사용 해야 합니다.
이 모델과 같이 전선을 직접 연결하는 경우 연선을 사용할 경우 접촉 불량이 발생 하므로.. 주의를 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납땜을 해서 사용하거나. 아니면 터미널을 이용해 접속 연결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설농업 > 환경제어 및 자동화 시스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리온실 스크린 수리 (2) | 2011.03.08 |
---|---|
irrigation system 양액공급 시스템.. (1) | 2011.03.07 |
priva 복합 환경제어 시스템. (1) | 2011.03.03 |
네타핌 NMC-64 환경제어 시스템 (0) | 2011.02.26 |
환경제어 설치를 시작 하면서... (0) | 2011.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