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온실과 태품. 강력한 태풍.. 강력하지 않은 태풍이 있었던가?. 지역적인 피해. 개인의 피해. 복권의 당첨 확률은 천문학적 이라 하지만 그래도 매주 당첨자가 나온다. 당첨되거나 안되거나. 개인에게 있어 확률은 그리 중요하지 않다. 시설재배는 초기투자도 그렇지만 운영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어간다.. 시설농업/온실 복구 2012.08.28
[스크랩] 익산 농장 그리고 태풍 준비. 억수로 강력한 태풍이라고 방송에서 떠들고 있습니다. 글새요. 늘 있는 일인데.. 8~9월 추석 전후로 오는 태풍이 강력하다는 것은 농업 생산을 하는 사람에게는 상식입니다. 바람이 강하지 않아도. 비가 그리 많지 않아도 수확철에 오는 것은 많은 피해를 가져다 줍니다. 항상 조심하고 대.. 시설농업/온실 복구 2012.08.27
가식 준비 가식 [위키백과] 한때심기는 작물을 가꿀 때 좁은 면적에 씨를 뿌렸다가 식물체가 조금 자라면 좀 더 넓은 공간에 옮겨 심고, 더 자라면 더 넓은 자리에 임시로 옮겨 심는 것을 말한다. 가식이라고도 한다. 예정일 보다 3일 가식을 당겨야 하는 상황 고온과 잔뜩 흐린날씨에 도장하고 있는 .. 시설농업/온실 복구 2012.08.23
착각 농사꾼의 자부심 중에 하나는 부지런하다는것, 새벽 해뜨기 전에 일어나 들에 나간다는 자부심이 있따. 작물은 주인의 발자국 소리를 듣고 자란다. 다른곳에서 부지런하다고 소문난 이모씨.. 여기서는 가장 늦게 일어나기에 깨우는 재미가 있다. 그래도 직원들보다는 1시간 먼저 일어나 .. 시설농업/온실 복구 2012.08.23
정식 준비 (배드설치) 양액재배는 토양을 이용하지 않는다. 그것이 재배라 할 수 있는지 논쟁을 하자는 이들이있지만 자전차가 자동차로 볼 수 있는지 논의 하는것과 같이 별다른 의미가 없다. 그네들은 그네들 대로 우리는 우리대로 서로 다름을 인정하면 되지만 틀리다 단정 지으면 여러가지 복잡해진다. 토.. 시설농업/온실 복구 2012.08.22
기록 정리?. 그리고 저장 H.D.D를 밀고 다시 깔았다. 나름 고사양 컴을 사용하고 있지만 사진 파일이 많고 예전 프로그램 까지 설치되어 있다 보니. 컴이 가끔 이상한 짓을 한다. 인공지능이 발전하기 때문인지 서서히 인간을 닮아 간다. 지 맘대로 꺼졌다 켜지고. 여러개를 같이 띄워 놓으면 그냥 렉걸러 버벅 거리.. 시설농업/온실 복구 2012.08.21
온실 관리의 기초 1. 전기 시설관리. ( 마그네틱 스위치 와 차단기) 예전부터 시설재배의 관리 메뉴얼을 만들고 싶었다. 완성 한다기 보다는 그냥 시작해 놓으면 누군가 첨싹하고 수정하고 잘못된것을 바로 잡아 가면 메뉴얼이 만들어 지지 않을까 ? 단순한 생각. 하지만 쉽게 시작하지 못했다. 내 온실이 없는 상황에서 다른이들의 온실. 시설을 가지고 이.. 시설농업/환경제어 및 자동화 시스템 2012.08.19
온실의 환경제어 제어를 한다는 것은 여러 의미가 있지만 명령을 내리고 동작을 감시하는것이라 할 수 있다. . 유리온실의 많은 시설들이 전기적인 장치에 의해 동작하기에 제어 판넬은 중요하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그리고 운영 시스템으로 억지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 개폐기가 하드웨어라 한다면.. 시설농업/온실 복구 2012.08.18
유리온실 환기창 수리 바닦정리가 어느정도 완료된 상황에서 작물이 들어가기 전에 천창을 확인해야 한다. 장기간 방치된 상황에서 기어가 파손되고 베어링 역활을 하는 프라스틱이 많이 망가져 있다. 제조사가 문 닫아버려 부속을 구할수도 없는 상황. 새로 교체하기에는 비용부담이 너무 크다. 비슷한것을 .. 시설농업/온실 복구 2012.08.15
침수 피해 새벽 2시부터 엄청나게 솓아 졌다, 새벽녁. 비가 얼마나 왔는지. 온실 한바퀴. 아직 작물이 들어가지 않은 상황이기에 침수가 된다 해도 그리 큰 걱정은 없다. 오히려 이번기회에 어디서 물이 역류 하는지 확인 할 수 있다면 다행이라는 생각.. 역시나 지대가 낮은 생산 A동은 침수가 된.. 시설농업/온실 복구 2012.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