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농업/최신 시설농업

측면 개폐기 GXP-drive

까만마구 2013. 10. 23. 19:36


비봉에 설치되는 온실은 측고가 4.5m 그리고 측면 개폐장치가 들어간다. 


측면 개폐기. 가격? 아직 잘 모름. 



3상 380[V]를 사용한다. 


안전한 DC가 좋다고 주장한다면. 개뿔.. 띠바. 씨바. 롯도 모르는 놈들의 소리라 치부해도 된다. 


DC와 AC 모터는 구동하는 방법이 다르다. DC는 에디슨이 개발한 발전 시스템. 그리고 AC는 테슬라가 개발한 발전 시스템이다. 

각자 특성과 장단점이 뚜렷하기에 뭐라 답하기 어렵지만 모터는 AC가 답이다. 속도 제어용 모터의 경우 직류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근래 인버터가 발전하면서 속도 제어용도 교류를 많이 사용한다. 무엇보다 소형은 직류가 저렴하겠지만 산업용은 교류가 종류도 많고 가격도 저렴하며 고장률과 전력 효율에서 월등한 우위에 있다.  


근대 왜? 한국에서는 DC를 주로 사용하냐고..  초기 일본 것을 모방하면서 DC로 굳어 버렸다.


한국씩 온실의 경우 롤업개폐방식을 사용하기에 숫자가 많다. 온실 7연동 이라면 일반 DC 개폐기가 최소 28개가 들어간다. 제어하기 편리한 DC를 사용하지만. DC의 치명적 약점은 전압강하에 의한 회전 속도가 일정 하지 않다는것.  환기창이 5개라 해도 열리는 각도가 다르다.  센서를 달고 카운터를 설치하면 속도를 맞출 수 있고. 기타 방법이 많이 있다 주장하지만. 그런 주장은 만들어 놓고 소비자들이 선택한다면 주장해야 한다.  그냥 돈만 주면 달라라 갈 수 있다고 주장하는것과 별반 다르지 않다. 


개폐장치는 주파수의 안전성이 있은 AC 교류 개폐기가 월등하고 단상보다는 3상이 좋다.

단상은 사용하지 않는것이 좋다. 단상을 사용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면 위상변환기나 인버터를 이용할 수 있겠지만 그것도 어렵다면 브레이크가 달려 있고 베벨기어가 아니라 2중 윔기어를 사용해야 한다.  이게 뭔 소린지 모른다면 검색을 해 본다음 댓글을 달고 항의 한다면 답변을 성실히 하겠다. 


  로봇에 사용하는 5상 모터가 좋다는 주장을 한다면 별로 할 말은 없지만 뒷동산에 올라가기 위해 케이블카를 설치할 필요 없는데. 돈이 많다면 그렇게 해도 된다. 


가격대비 품질, 그리고 신뢰성을 우선한다면 이녀석이 답이다 



여러가지 부속 장치들. 


국내처럼 한쪽측면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중앙에 설치하는 구조다. 물론 한쪽 측면에도 설치 할수 있으며 이 경우 다른 장치가 더 필요하다. 



리밋트 기본회로. 


뭐 국내 개폐기랑 똑 같내. 헛소리 하지 말자. s-11 / s-12 / 비상리밋트 s-21 /s-22 


국내는 그냥 두개의 리밋트를 직렬 연결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부 수정해서 사용 할 수도 없게 단자를 잘라 놓은 경우도 있다. 


그나마 부산 지경정밀의 리밋트 회로는 어느정도 기본은 되어 있지만 다른회사 제품중에 맘에 드는 리밋트 회로를 본적이 없다. 


억울한 제작자가 있다면 답글을 달아도 좋다. 

 


제작사들은 사용자들이 용도에 맞게 회로를 구성할 수 있도록 개방 시켜 놓았다. 리밋트 S/W 4개가 설치되어 있는데 접점 포인트는 12개다. 


이렇게 하지 않아도 된다고 가르칠 생각은 하지 말라. 어리썩음이 하늘을 찌른다. 



네덜란드 제품이다. 


이네들은 유럽 전체를 상대 하기에 하나만 잘 만드면 전세계로 팔아 먹을 수 있어 국제 규격으로 만든다. 

어느 나라. 어느곳이든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접점 포인트 12개. 사용자 알아서 사용하라고 책임을 면하고 있다. 


하지만 짧은 지식으로 만들어 놓고 강요하는 제품과는 질적인 차이와 개념이 다르다.  



사용국가의 전압에 대응할 수 있게 해 놓았다. 230V 부터 480까지 사용 할 수 있다 주장하고 있다. 


그렇다고 이걸 다 사용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주문 할 때 한국 60[Hz] 3상 380[V] 전용으로 만들었다. 



정전시 혹은 모터에 문제가 있을 경우 수동으로 사용 할 수 있는 비상 장치다 달려 있다. 


고무 뚜껑을 열고 볼트를 회전 시키면 열고. 닫을 수 있다. 

 



수입산이나 비싼게 좋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온실용 개폐기는 가능한 교류 3상 모터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는 것. 그리고 리밋트는 정밀하고 사용자 의도 하는 회로를 꾸밀 수 있게 해야 한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것은 정전이나 이상 발생시 수동으로 사용 할 수 있는 장치가 반드시 달려 있어야 한다. 



'시설농업 > 최신 시설농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익숙한 것의 실수 2.  (0) 2013.10.27
익숙한 것의 실수.   (0) 2013.10.24
시설농업 교육 ?  (0) 2012.11.23
시설관리 순환펌프 교체   (0) 2012.11.08
대박, 쪽박, 그냥 바가지  (0) 2012.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