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11월7일자 (제2574호) “농업분야 전력 소비 갈수록 확대…대책 마련 시급”
농업용 전기사용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어 전력수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대책마련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농기계학회는 지난달 31일~이달 1일까지 제주 한화리조트에서 ‘2013 추계 학술대회 및 정기총회’를 개최했다. 이번 학술대회 기간 동안 열린 심포지엄에서 정한경 에너지경제연구원 박사는 ‘국내 전력수급 현황 및 전력요금 체계’ 주제발표에서 농업용 전기사용 증가에 따른 개선방안 필요성을 피력했다.
정한경 박사는 “낮은 전기요금 때문에 산업분야의 전력 다소비 구조가 고착화되면서 2009~2012년 전력소비량과 최대전력수요 모두 21% 증가해 전력수급 불안정을 초래했다”며 “이러한 현상은 농업분야도 마찬가지여서 전력수급난 해소를 위해서는 산업용을 비롯해 농업용 전기의 원가기반 요금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
이에 정 박사는 “현재 전력 다소비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자원배분의 효율성과 형평성을 고려한 가격 정상화가 이뤄져야 하며, 산업용 전기요금이 OECD 평균의 67% 수준이라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라면서 “따라서 현재 원가의 33% 수준인 농사용 전기의 경우에는 적용대상을 더 이상 확대하지 않는 원칙을 정립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김태한 경북대 교수도 ‘시설원예 난방에너지 이용현황 분석’ 주제발표에서 농업용 전기 사용량 증가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농림업 분야 에너지원 사용실태를 보면 전력 사용이 1999년 28만 4000TOE(석유환산톤)에서 2011년 84만 3000톤TOE에 비해 3배 늘었다”라면서 “국내 전체 소비전력 중 농림어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2.6%이나 온실 냉·난방, 저온저장고, 축사 등 농업용 설비분야별로 1999년 제로수준이었던 전기에너지 이용량이 2011년 약 40만TOE까지 늘었다”라고 분석했다. 이에 김 교수는 “현재 사용량 기준으로 농업분야 전력수요량을 예측해 보면 2020년에는 112만 3000TOE에 육박하고 2050년까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며 “농사용 전력 사용증대에 대비해 농사용 면세유 가격을 전력 사용시 비용수준으로 인하하고, 신재생에너지 이용 확대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동광 기자(leedk@agrinet.co.kr) |
생각. 전기가 사용하기 편하고 농업용 전기가 저렴하다는 이유로 전기 난방을 하는 경우가 많다. 관계기관에서 전열기를 농가 에너지 비용 절감 대책으로 보급한적도 있으니. 뭐라 말하기 어렵다. 개인회사에서 판매 목적으로 하는 주장은 그렇다 치고. 연구기관이라 행정 쪽에서 전기를 이용한 에너지 설비 보급은 잘못된 선택이었다. 그것도 대충 만든것들이 대부분이고. 이를 전략적으로 이용한 이들이 꽤 많다. 보광용 전기료가 저렴하다고 히터를 설치해 놓고 전조, 보광등이라 우기는 것부터 에너지 법칙에 어긋나는 것을 자랑스럽게 정부 지원을 받아 설치한 농가들의 편법. 모르고 넘어 갔을까? 아니면 고의적으로 회피 했을까?. 고의적인 실수라면 해서는 안되는 근시안적인 문제들. 농업용 전기요금 인상. 농가 스스로 자신들의 길을 막고 있는 어리썩은 일을 지금 하고 있다. 그냥 뭉쳐 항의 하고 대모 한다면 된다는 생각들... 니미 띠바. 괜히 머리가 띵해 진다. 올것이 오고 있다는 생각에.. |
'기사·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에너지, 필요할 때 꺼내쓰는 新기술의 세계 (0) | 2014.01.28 |
---|---|
[펌] “효율적인 온실난방 노하우 배워가세요” (0) | 2014.01.11 |
[스크랩] 온난화라더니.. 북극빙하 되레 60% 늘어 (0) | 2013.09.09 |
“시설원예산업 글로벌 기술제휴…발전 모색을” (0) | 2013.07.30 |
[스크랩] 지구 꿈틀거리게 하는 ‘식물의 위대함’ (0) | 2013.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