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차 현장 컨설팅 2일째..
컨설팅 농가를 한달 2번 방문 한다는 것이 결코 쉬운일이 아닙니다.
계산적으로 하루 일정에 3~4 농가를 현장 방문 하기에 1주일에 하루 혹은 이틀만 거시기 하면 될것 같지만. 여러 상황이 있어
일주일의 절반 이상을 현장 컨설팅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대부분 장미를 재배 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시설원예의 특징상 병충해 발생과 작물의 생리적 문제는 단순한 시스템의 조정만으로 해결 할 수 없는 복합적인 문제가 많아. 쉽지 않습니다.
하루하루 변하는 날씨에 따라 대처하는 방법이 다르고..
기상변화에 따라 양액공급과 기타 여러가지 설정이 달라지는 상황에서... 메모리의 한계에 부딫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재배시설의 내부는 깔끔하게 정리 되어 있으면.. 작물도 잘 거시기 되고 있다는 것을 느낄수 있지만.
듬성 듬성.. 일손이 딸려 작업이 진행되지 않은 부분이 눈에 먼저 들어 옵니다.
인력부족과 기타 여러가지 이유로 진행이 더딘것을 지적하는것은 하나의 잔소리 밖에 되질 않아 되도록 삼가 하고 있지만.
시설내 환경조건을 가능한 균일하게 맞춰야 하는데... 한쪽으로 치우틴 난방 장치들이.. 눈에 거슬립니다.
장미 가격이 들쭉날쭉 하다 보니..
이 농장도 일부를 고설딸기 재배로 전환하기 위한 작업중에 있습니다.
겨울 난방비 절감과 기타 여러가지 이유때문에 작물을 전환 하는 것 이지만..
단일 온실에 한가지 품종을 재배 하는 것을 원칙이라 말 하면서도
음... 그렇다고 적극 추천 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양액공급 시스템의 원액을 공급하는 마그네틱 펌프 입니다.
내산성 재질로. 일반적인 펌프와 달리 전 자석의 힘으로 회전 시키는 녀석이다 보니..
조금만 이물질이 있으면 좌우 균형이 맞지 않은 놈 입니다..
대충 점검해 사용하고 있지만.
빠른기일 안에 교체 해야 하는 녀석...
체크벨브...
외제.. 수입산이 억수로 좋다.. 라는 것은 사대주의라 호도하는 이들이 있지만.
단순한 PVC 라도 명품은 있습니다.
바다로 둘러싸여(북은 거시기로 갈려 있지만) 좁은 국내 시장에서 품질이 아닌 단가 경쟁으로 만들어진 시장의 원리가..
가격을 우선시 하는 소비자 스스로 제품의 품격을 떨어 뜨린 상황입니다..
명품은.. 부속 하나하나가 모여 만들어진 것이라..
재배시설내부에 일 부분 시험재배 하고 있는 품종입니다..
꽃잎이 부드럽고.. 거시기 하지만. 전체적인 품질이 그리 맘에 들지는 않습니다.
카메라 한 프레임에 같은 색이면.. 그럭저럭 유지가 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차광 스크린을 잘 보면 문제점을 발견 할 수 있습니다.
시설원예는 시설내 환경 조건이 가능한 균일해야 하는것을 원칙으로 하는데..
그 원칙을 벗어나 있습니다.
처방은 의사에게.. 약을 약사에게..
설계한 녀석과.. 이렇게 시공한 사람은.. 공범입니다..
자 세운 골격을 내부 시설을 거시기 하게 한 이유로.. 제대호 활용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환경에 맞출 것 인지.. 작물에 맞출 것 인지...
다행히 내년에 품종 을 바꿀 예정이라는 말에...
무덥고 습한 날씨를 제어 한다는 것은 너무 많은 비용이 들어갑니다.
지열을 이용해 난방과 냉방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주장 하지만..
그 범위가 그리 쉬운일이 아닙니다..
화려한 원피스를 입은 처녀 같은 모습이지만...
잎은.. 응애의 습격을 받아. 엉망 입니다.
품종을 선택 할때 화색과 크기 수확량 등 여러가지를 검토 해야 하지만. 내병성과 내충성도 반드시 검토 해야 합니다.
장미는...
부드러운 꽃 잎...
감춰진 속살..
한꺼플.. 한꺼플.. 벗겨 보고 싶은 충동..
스크린을 3중으로 설치했지만. 어느하나 차광 전용 스크린이 없고.
트러스 구조에 예인 방식을 사용했다.
계폐기 좌우 각 3대식..
결코 리드바 형식이나 랙 기어 방식보다 저렴한 것은 아니다.
단순한 자제값과 비교 하기 보다는 전체 적인 설치와 안전성을 비교 했더라면.. 아쉬움..
이 녀석을 볼때 마다.. 아쉬움과. 억누르기 힘든 화가 솟구친다.
거기다. 계폐 폭을 설정하는 리밋트 또한 너무 맘에 들지 않는다..
온실의 위치 선정이 시설원예의 승부를 좌우 할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넓은 면적을 구할 수 없고. 경지 정리 작업에 많은 비용이 들어가기에...
논에다 온실을 설치 할 경우. 배수에 많은 투자를 해야 한다.
특히 시설내 습도를 관리 하기 위해서는 바닦이 중요하다.
겨울 온도를 올리는 것은 쉬워도. 여름 고온기 온도를 낮추는 것이 어렵듯.
습도를 낮추는 것은 토양의 힘을 빌리지 않으면 너무 어려운 일이다..
어느정도 습도의 완충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마른 바닥이 필요하지만..
잘 배수 되지 않은 논 바닦... 거기다. 비닐 멀칭은.. 업치대 겹친 형태다..
전기 배전반..
무어라 할 수 없지만.
어느정도 전선 정리와 UV 처리가 되지 않은 피복은 자외선을 차단해 줘야 한다.
조만간.. 정리를 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한 상황...
이미 만들어져 있는 상황을 무엇이라 장단점을 판단하고 이야기 하기는 조심스럽다.
현 상황에서 정리와. 전선 피복의 부식 문제를 미리 알려 주지만..
음... 쉬운일이 아니다.
UV 처리되지 않은 전선 피복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는 상상만 하기도 겁이 난다.
뿌리의 흡비력을 높이고 토양 전염병을 예방 하기위해
접목묘를 사용 하고 있지만..
양액 재배에서는 굳이 접목묘를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히 관리 할 수 있다.
오히려 장기적으로 펄라이트의 특징중 하나인 물리성의 변화가 어떤 문제로 다가올지는 예상이 되지만..
이미 선택된 일 이기에..
어떤 녀석이.. 이쁜.. 꽃망울을?.
거의 예술적 수준이다.
좌우 균형을 맞춰 먹은 것은. 한 곳에서 최대한 많이 먹기 위한. 과학적인 방법이다.
한쪽만 먹을 경우 잎은 이그러지고. 쉽게 눈에 띄기 때문에.. 이 잎은 처음부터 이렇게 생겼다고..
내가 먹은것이 아니라고.. 위장하고 있는 ...
알에서 막 부회된 청벌래 1령. 들의 가해 흔적이다..
구강 구조가 발달 되지 않아 안쪽의 얇은 면만 먼저 습식한 상황..
작업을 하거나 시설을 예찰 할때 이런 잎이 발견되면.. 2령이나 3령으로 크기 전에 빨리 방제 해야 한다.
3령 이상된 녀석들의 흔적이다..
습식하고 남은 배설물들..
배설물 주변을 확인하면. 숨어 있는 녀석들을 찾을 수 있다.
해 빛이 강한 낮 보다는 어느정도 해가 넘어간 상황에서 왕성한 먹이 활동을 하기에..
청벌래 방제는 조 저녁에 하는 것이 좋다. 다만 과습되지 않도록 야간온도 관리와 환기에 주의 해야 한다.
한방에...
이런 사진을 촬영할 수 있게 자리를 만들어 준.. 거시기에게 감사 드리지만..
그래도 아무 피해없는 꽃 망울이..
휴대용 측정 장치는 수시로 0점 조정을 해야 한다..
잎맥이 선명하게 보인다는 것은 pH가 근권내 낮다는 것을 말한다...
생식생장되는 부분이 너무 많은 경우.. 이런 잎이 많이 나타 난다..
약해...
병을 잡기 위한 방제지만..
어떤 경우 병을 잡지 못하고.. 작물을 잡는 경우가 있다.
여러가지 조건 중 어느 하나 과하거나 부족 할 경우 발생하는 상황...
흰곰팡이병...
방제로 인해 세력이 많이 약해진 상황이지만..
완전 방제가 어려운 만큼 다시 발병 하지 않도록 습고 변화에 주의 해야 한다..
흰가루병은 온실의 습도가 급변 할 때 발생률이 높다.
특히 낮에 건조하고. 밤에 과습할 경우 발병하며.. 방제도 쉽지만. 어느정도 밀도가 증가되고 나면.. 관리하기 엄청 어려운 녀석이다.
품종에 따라 내병성이 있는 녀석이 있지만..
주로 성장이 빠른 녀석들이 흰가루에 약하다.
둥글게 몽우리져 있는 상황...
방제로 인해 세력이 많이 줄어 들었지만..
다시 조건만 맞으면 확산하는 특징이 있어 발견즉시. 3~5일 간격으로 3회 이상 방제하는것이 좋다.
약은 바꿔치는 것도 좋지만 하나의 약으로 3회 까지 살포하고 바꾸는 것이 합리적이다.
한번의 방제로 완전 살균이 어려운 상황에서 약을 자주 바꾸게되면 내병성이 강해지는 부작용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