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rm1st 교육 센터

시설농업 교육 ?

까만마구 2013. 11. 22. 07:29


12월 2일 부터 시작 할 시설농업 교육을 준비 하고 있다. 


무엇을 어떻게? 


질문하는것에 대한 답은 아는 범위 내에서 할 수 있다. 굳이 모르는 것을 안다고 주장 할 필요는 없다. 흔히들 엔니지어 "똥고집" 이라 하지만 자신보다 고수 앞에서는 절대 고집 부리지 않는다. 설명을 잘 하지 못해 상대를 설득하지 못하고 고집 부리는것 처럼 보일 수 있지만. 잘못된 상식. 잘못된 계산을 주장하다 들키게 되면  한방에 훅~ 갈 수 있다는 것을 잘 안다. 그러기에 문서로 작성되는것 공식적인 발표는 여간 신경쓰이는것이 아니다. 


주변의 권고와 요청. 필요에 의해 비 정기적으로 교육을 하지만 이것을 체계화 하는 것이 생각처럼 쉽지 않다. 


정부 지원의 교육과 컨설팅 관련 사업에 여러가지 있어 몇 번 신청 했으나 번번히 떨어졌다. 행정 에서 정한 규정에 우리는 비 전문가 밖에 되지 않는다. 농대를 나온것도 아니고. 학위가 있는것도 아니다. 그렇다고 깨끗하고 정돈된 교육장이 있는것도 아니기에 교육 과정과 계획은 좋아도 기본이 되어 있지 않은것으로 판정받게된다.   


수 많은 농업 교육기관과 학교들이 있다. 그들과 같은 내용이라면 굳이 할 필요가 없다. 병충해와 작물 생리는 어디서나 맘만 먹으면 배울 수 있고 노력만 한다면 필요한 자료를 찾을 수 있지만. 농업의 특성상 이론에 경험이 쌓여야만 실제 적용 할 수 있다. 책과 사진으로 병충해에 관한 자료를 법하고 시험치듯 외워도 작물과 품종에 따라 나타나는 기준이 달라진다. 같은 오이라고해도 품종에 따라. 그리고 재배 환경에 따라 변수가 많기 때문에 획일적인 교육을 그대로 따라 가기에는 위험 부담이 크다. 그렇다고 수 많은 변수의 갈림길에서 주사위 놀이처럼 꽝이 있고. 미끄러져 처음으로 되돌아 가기도 하는 것이 재배와 생산이다. 영업사원들이야. 자신들이 팔고 있는것이 세계에서 가장 좋은것이라 주장할 수 있지만 그것을 활용하는 것은 결국 사람이다. 어떻게 적용하고. 어떤방법으로 활용할 것인지는 자신 스스로 판단해야 하지만. 그 판단 하는 방법을 한 두 시간내 설명 하는 것은 어렵다. 


기본적으로 1주일에 1회. 한번에 6시간 씩. 15분 이론 교육. 그리고 45분 실습하는 과정으로 프로그램을 만들고. 커리큘럼 같은 소 제목과 내용을 정리 하고 있지만 참고 할 자료가 부족해 애를 먹고 있다. 준비 부족으로 미루다 보면 언제 시작할 수 있을지 기약 할 수 없어. 12월 부터 6개월 과정으로 시작한다. 


 이론을 중심으로 자재들의 역활 그리고 온실내 적용과 활용까지 가능한 시스템을 직접 만들어 가면서 진행한다. 매월 100만원이 부담 스럽겠지만. 6개월 과정에서 시중에 2~300만원 하는 관비 공급 시스템을 직접 만들어 갈 수 있고. 환경제어 시스템까지 제작하면 600만원 이상의 제품을 만들어 갈 수 있다. 


자신의 농장에 필요한 것을 직접 설계하고 만들 수 있도록 단계적 진행을 하기 사후 A/S나 응용은 스스로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준비하고 있는 내용 





▧ 교육 과정.  (세부 사항은 월요일 공개)


  ▶ 개강 : 2013년 12월 3일 (매주 화요일 / 토요일 )


  ▶ 인원 : 각 12명 (주중반 / 주말반)


  ▶ 장소 : 경기도 화성비 비봉면 한들영농조합법인 최신 비닐온실 신축 현장

      ○ 신청자가 10명 이하 일 경우 과정이 취소 될 수 있음

      ○ 단체 신청 일 경우 원하는 장소에서 교육 가능

      ○ 전북권내 신청자가 10명 이상일 경우 수요일 본사 교육센터에서 진행 

            (완주군 봉동 전북과학기술지원센터) 

      

  ▶ 비용 : 입학 준비금 50만원 / 실습 교육에 필요한 가종 측정기 및 기본 공구 자재

     ○ 6개월 과정 매월 100만원 / 실습자재 비용 60% + 식대등 부가 비용 10% + 교육비 30%

     ○ 교육 실습으로 제작된것은 개인 소유 

     ○ 농업 현장에서 바로 적용 사용 할 수 있는 제품 과정별 제작




▧  교육 계획 


  ▶ 시설농업의 입문 . 6개월 

- 관비 공급 시스템 및 비닐온실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시스템 직접 제작.

- 관비재배와 비닐온실 기초 활용과 운영


  ▶ 시설농업 중급   6개월

- 양액 공급 시스템과 시이퀸스를 기초로 한 온실 운영 시스템

- 유리온실, 양액 재배 시스템 이론과 활용 관리 등


  ▶ 시설농업 고급  1년 

- 복합 환경제어 시스템 

- 재배 생산 시스템


  ▶ 특별반 

1. 생산 농가 컨설팅과 병행, 맞춤씩 현장 교육

2. 2~3년 과정 해외 농업 현장 교육 및 실습



  ▶ 시설농업의 입문 6개월 24주 과정 


- 주중반  : 농업인 중심 / 매주 화요일 10시 부터 ~5시 까지 


- 주말반 : 귀농자 및 관련 학생 / 매주 토요일 10시 부터 ~ 5시 까지 


- 수강료 : 월 100만원 / 실습자재 비용 60% + 식대등 부가 비용 10% + 교육비 30%


- 교육 내용 

@ 농업 전기 기초 

@ 관비 공급기 제어 시스템 직접 제작 

@ 관비 공급 시스템 제작

@ 환경제어 기초 

@ 난방과 제어 시스템

@ 관수와 관비

@ 온실내 환경 관리

@ 각 시스템의 운영

@ 식물 생육 환경 컨트롤